열연 제품은 열간압연기(Hot Rolling)에 의해 생산된 열연 코일과 이를 절판한 열연 강판으로 구성됩니다.
연속 주조기에서 생산된 슬래브(Slab)를 고객사가 요구하는 치수로 압연하고
냉각과 권취 과정을 거쳐 제조됩니다.
포스코는 포항과 광양에 6개의 열연 공장을 갖추고 있으며, 세계적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열연 제품은 기계와 건축 구조용, 자동차 구조용, 일반/API 강관용, 냉간 압연용 등 산업 전반에서 다양하게 활용됩니다.
냉간압연의 소재로 사용되는 제품으로서, 열연제품 중에 가장 강도가 낮은 편이며, 일반 가공용에서 심가공용까지 생산되고 있습니다. CR, GI, EG, Color 강판 등 다양한 냉연 제품의 소재로 사용됩니다.
주요 규격
?연강
연강(Mild Steel)은 탄소의 양이 적고 비교적 연한 탄소강으로 인장 강도 340MPa 미만에 해당합니다. 연신율이 높고 성형범위가 넓어 일반 가공부터 섬세하고 높은 수준의 가공까지 다양하게 활용됩니다. 자동차 부품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주요 규격
?열연 CQ(Commercial Quality)급 연강은 저탄소강(C 0.13~0.2%)으로, 인장 강도는 270MPa 이상입니다. 두께 1.2mm 이상의 자동차 샤시용 부품에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제품으로는 HR, PO, HGI, HGA가 있습니다.
적용부품일반 가공용으로 자동차용 부재(Member)와 샤시 부품용으로 주로 사용
기계적 성질Guaranteed Value |
Class | 0.2%YS, MPa Spec. |
TS, MPa Spec. |
El., % Spec. |
---|---|---|---|---|
TS | PO | 111~ | 270~550 | 29~ |
Uncoated | Electrogalvanized | Galvanized | Galvannealed |
---|---|---|---|
![]() |
- | ![]() |
![]() |
열연 DQ(Drawing Quality)급 연강은 저탄소강으로 인장 강도 270MPa 이상, 연신율 33% 이상입니다. 두께 1.2mm 이상의 자동차 샤시용 부품에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제품으로는 HR, PO, HGI, HGA가 있습니다.
적용부품높은 가공성을 요구하는 자동차용 부재(Member)와 샤시 부품용으로 주로 사용
기계적 성질Guaranteed Value |
Class | 0.2%YS, MPa Spec. |
TS, MPa Spec. |
El., % Spec. |
---|---|---|---|---|
TS | PO | 111~ | 270~ | 33~ |
Uncoated | Electrogalvanized | Galvanized | Galvannealed |
---|---|---|---|
![]() |
- | ![]() |
![]() |
열연 DDQ(Deep Drawing Quality)급 연강은 극저탄소강(C 0.03~0.12%)으로, 열연 D급보다 더 높은 가공성을 추구하는 고객의 니즈에 맞춰 개발되었습니다. (인장강도 ≥ 270MPa, 연신율 ≥ 35%) 두께 1.2mm 이상의 자동차 가공용 부품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제품으로는 HR, PO, HGI, HGA가 있습니다
적용부품열연 D급보다 더 높은 가공성을 요구하는 자동차용 부재(Member)와 샤시 부품용으로 주로 사용
기계적 성질Guaranteed Value |
Class | 0.2%YS, MPa Spec. |
TS, MPa Spec. |
El., % Spec. |
---|---|---|---|---|
TS | PO | 111~ | 270~ | 36~ |
Uncoated | Electrogalvanized | Galvanized | Galvannealed |
---|---|---|---|
![]() |
- | - | - |
고강도강(High Strength Steel)은 0.2% 정도의 탄소를 함유한 탄소강에 규소 · 망간 · 니켈 · 크롬 · 구리 등을 첨가하여 성능을 향상시킨 강입니다. 고강도강은 금속학적으로 소부경화강, 고용강화강, 석출경화강으로 분류되며, BH(Bake-Hardenable) steel, HSLA(High Strength Low Alloy), R(Rephosphorized) steel, IF(Interstitial Free) HSS, ATOS(AuTOmobile Structural) steel 등이 있습니다.
주요 규격
?저탄소강에 석출강화원소인 Ti, Nb을 첨가하여 탄질화 석출물을 미세하게 분산시켜 제조됩니다. 이때 생성되는 대표적인 석출물은 NbC, TiC, VC, AlN 등이 있습니다. 이 석출물은 전위이동을 방해하여 강도와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는데, 석출물의 크기가 작을수록 강도가 더욱 증가합니다.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고강도 강을 얻을 수 있어 자동차 충돌 부품을 보강하는 데에 적합합니다.
열연 A715-40은 미국재료시험협회(ASTM) 규격으로 항복강도 280MPa 이상 보증강입니다. 인장강도는 350MPa 이상 입니다. 항복강도가 높고 연신율이 낮아서 성형이 적은 부품에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적용부품고강도 및 내피로성이 요구되는 서스펜션(Suspension) 등 자동차 샤시용 부품에 주로 사용
기계적 성질Guaranteed Value |
Class | 0.2%YS, MPa Spec. |
TS, MPa Spec. |
El., % Spec. |
---|---|---|---|---|
YS | PO | 280~350 | 350~ | 30~ |
Uncoated | Electrogalvanized | Galvanized | Galvannealed |
---|---|---|---|
![]() |
- | - | - |
열연 A715-50은 미국재료시험협회(ASTM) 규격으로 항복강도 346MPa 이상 보증강입니다. 인장강도는 414MPa 이상 입니다. 항복강도가 높고 연신율이 낮아서 성형이 적은 부품에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적용부품고강도 및 내피로성이 요구되는 휠(Wheel), 서스펜션(Suspension) 등 자동차 샤시용 부품에 주로 사용
기계적 성질Guaranteed Value |
Class | 0.2%YS, MPa Spec. |
TS, MPa Spec. |
El., % Spec. |
---|---|---|---|---|
YS | PO | 346~ | 414~ | 23~ |
Uncoated | Electrogalvanized | Galvanized | Galvannealed |
---|---|---|---|
![]() |
- | - | - |
열연 A715-55은 미국재료시험협회(ASTM) 규격으로 항복강도 380MPa 이상 보증강입니다. 인장강도는 480MPa 이상 입니다. 항복강도가 높고 연신율이 낮아서 성형이 적은 부품에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적용부품고강도 및 내피로성이 요구되는 휠(Wheel), 서스펜션(Suspension) 등 자동차 샤시용 부품에 주로 사용
기계적 성질Guaranteed Value |
Class | 0.2%YS, MPa Spec. |
TS, MPa Spec. |
El., % Spec. |
---|---|---|---|---|
YS | PO | 380~ | 480~ | 18~ |
Uncoated | Electrogalvanized | Galvanized | Galvannealed |
---|---|---|---|
![]() |
- | - | - |
열연 A715-60은 미국재료시험협회(ASTM) 규격으로 항복강도 410MPa 이상 보증강입니다. 인장강도는 480MPa 이상 입니다. 항복강도가 높고 연신율이 낮아서 성형이 적은 부품에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적용부품고강도 및 내피로성이 요구되는 휠(Wheel), 서스펜션(Suspension) 등 자동차 샤시용 부품에 주로 사용
기계적 성질Guaranteed Value |
Class | 0.2%YS, MPa Spec. |
TS, MPa Spec. |
El., % Spec. |
---|---|---|---|---|
YS | PO | 410~ | 480~ | 20~ |
Uncoated | Electrogalvanized | Galvanized | Galvannealed |
---|---|---|---|
![]() |
- | - | - |
열연 A715-65은 미국재료시험협회(ASTM) 규격으로 항복강도 450MPa 이상 보증강입니다. 인장강도는 520MPa 이상입니다. 항복강도가 높고 연신율이 낮아서 성형이 적은 부품에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적용부품고강도 및 내피로성이 요구되는 휠(Wheel), 서스펜션(Suspension) 등 자동차 샤시용 부품에 주로 사용
기계적 성질Guaranteed Value |
Class | 0.2%YS, MPa Spec. |
TS, MPa Spec. |
El., % Spec. |
---|---|---|---|---|
YS | PO | 450~ | 520~ | 14~ |
Uncoated | Electrogalvanized | Galvanized | Galvannealed |
---|---|---|---|
![]() |
- | - | - |
열연 A715-70은 미국재료시험협회(ASTM) 규격으로 항복강도 500MPa 이상 보증강입니다. 인장강도는 570MPa 이상 입니다. 항복강도가 높고 연신율이 낮아서 성형이 적은 부품에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적용부품고강도 및 내피로성이 요구되는 휠(Wheel), 서스펜션(Suspension) 등 자동차 샤시용 부품에 주로 사용
기계적 성질Guaranteed Value |
Class | 0.2%YS, MPa Spec. |
TS, MPa Spec. |
El., % Spec. |
---|---|---|---|---|
YS | PO | 500~600 | 570~ | 18~ |
Uncoated | Electrogalvanized | Galvanized | Galvannealed |
---|---|---|---|
![]() |
- | - | - |
열연 A715-80은 미국재료시험협회(ASTM) 규격으로 열연 HSLA강 중 가장 높은 항복강도 550MPa 이상에 해당하는 보증강입니다. 인장강도는 620MPa 이상입니다. 항복강도가 높고 연신율이 낮아서 성형이 적은 부품에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적용부품고강도 및 내피로성이 요구되는 휠(Wheel), 서스펜션(Suspension) 등 자동차 샤시용 부품에 주로 사용
기계적 성질Guaranteed Value |
Class | 0.2%YS, MPa Spec. |
TS, MPa Spec. |
El., % Spec. |
---|---|---|---|---|
YS | PO | 550~650 | 620~ | 16~ |
Uncoated | Electrogalvanized | Galvanized | Galvannealed |
---|---|---|---|
![]() |
- | - | - |
열연 440C는 인장강도 440MPa 이상 보증강입니다. 미주와 유럽 고객은 주로 항복강도를, 한국과 일본 등 아시아 고객은 주로 인장강도를 기준으로 강철 종류을 구분합니다. 열연 440C는 열연 A715-xx처럼 높은 강도가 요구되는 자동차 샤시 부품용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적용부품고강도 및 내피로성이 요구되는 휠(Wheel), 서스펜션(Suspension) 등 자동차 샤시용 부품에 주로 사용
기계적 성질Guaranteed Value |
Class | 0.2%YS, MPa Spec. |
TS, MPa Spec. |
El., % Spec. |
---|---|---|---|---|
TS | PO | 305~440 | 440~ | 27~ |
Uncoated | Electrogalvanized | Galvanized | Galvannealed |
---|---|---|---|
![]() |
- | - | - |
열연 540C는 인장강도 540MPa 이상 보증강입니다. 미주와 유럽 고객은 주로 항복강도를, 한국과 일본 등 아시아 고객은 주로 인장강도를 기준으로 강철 종류을 구분합니다. 열연 540C는 440C보다 높은 강도가 요구되는 자동차 샤시 부품용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적용부품고강도 및 내피로성이 요구되는 휠(Wheel), 서스펜션(Suspension) 등 자동차 샤시용 부품에 주로 사용
기계적 성질Guaranteed Value |
Class | 0.2%YS, MPa Spec. |
TS, MPa Spec. |
El., % Spec. |
---|---|---|---|---|
TS | PO | 355~ | 540~ | 22~ |
Uncoated | Electrogalvanized | Galvanized | Galvannealed |
---|---|---|---|
![]() |
- | - | - |
열연 590C는 인장강도 590MPa 이상 보증강입니다. 미주와 유럽 고객은 주로 항복강도를, 한국과 일본 등 아시아 고객은 주로 인장강도를 기준으로 강철 종류을 구분합니다. 열연 590C는 540C보다 높은 강도가 요구되는 자동차 샤시 부품용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적용부품고강도 및 내피로성이 요구되는 휠(Wheel), 서스펜션(Suspension) 등 자동차 샤시용 부품에 주로 사용
기계적 성질Guaranteed Value |
Class | 0.2%YS, MPa Spec. |
TS, MPa Spec. |
El., % Spec. |
---|---|---|---|---|
TS | PO | 420~ | 590~ | 20~ |
Uncoated | Electrogalvanized | Galvanized | Galvannealed |
---|---|---|---|
![]() |
- | - | - |
열연 780C는 인장강도 780MPa 이상 보증강입니다. 미주와 유럽 고객은 주로 항복강도를, 한국과 일본 등 아시아 고객은 주로 인장강도를 기준으로 강철 종류을 구분합니다. 열연 780C는 열연 HSLA강 중 가장 높은 인장강도를 가지며, 고강도가 요구되는 자동차 샤시 부품용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적용부품고강도 및 내피로성이 요구되는 휠(Wheel), 서스펜션(Suspension) 등 자동차 샤시용 부품에 주로 사용
기계적 성질Guaranteed Value |
Class | 0.2%YS, MPa Spec. |
TS, MPa Spec. |
El., % Spec. |
---|---|---|---|---|
TS | PO | 685~835 | 780~ | 14~29 |
Uncoated | Electrogalvanized | Galvanized | Galvannealed |
---|---|---|---|
![]() |
- | - | - |
저탄소강에 치환형 합금원소인 P, Mn을 첨가하여 제조합니다. 치환형 원소는 격자변형을 일으키고 내부 응력을 증가시키는데, 이것이 전위의 이동을 방해하여 결과적으로 강도를 상승시킵니다. 일반적으로 치환형 원소는 침입형 원자에 비해 강도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작습니다.
열연 310R은 인장강도 310MPa 이상 보증강으로, 일반 열연재보다 높은 강도를 요구하는 고객을 위하여 개발된 강철입니다.
적용부품일반 열연재보다 높은 강도를 요구하는 자동차 부재(Member)와 서스펜션(Suspension) 등 자동차 샤시용 부품에 주로 사용
기계적 성질Guaranteed Value |
Class | 0.2%YS, MPa Spec. |
TS, MPa Spec. |
El., % Spec. |
---|---|---|---|---|
TS | PO | 186~ | 310~ | 34~ |
Uncoated | Electrogalvanized | Galvanized | Galvannealed |
---|---|---|---|
![]() |
- | - | - |
열연 370R은 인장강도 370MPa 이상 보증강으로, 열연 310R보다 높은 강도를 요구하는 자동차 부품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적용부품열연 310R보다 높은 강도를 요구하는 자동차 부재(Member)와 서스펜션(Suspension) 등 자동차 샤시용 부품에 주로 사용
기계적 성질Guaranteed Value |
Class | 0.2%YS, MPa Spec. |
TS, MPa Spec. |
El., % Spec. |
---|---|---|---|---|
TS | PO | 225~ | 370~ | 33~ |
Uncoated | Electrogalvanized | Galvanized | Galvannealed |
---|---|---|---|
![]() |
- | ![]() |
![]() |
열연 400R은 인장강도 400MPa 이상 보증강으로, 높은 강도를 요구하는 자동차 부재와 샤시 부품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적용부품열연 370R보다 높은 강도가 요구되는 자동차 부재(Member)와 서스펜션(Suspension) 등 자동차 샤시용 부품에 주로 사용
기계적 성질Guaranteed Value |
Class | 0.2%YS, MPa Spec. |
TS, MPa Spec. |
El., % Spec. |
---|---|---|---|---|
TS | PO | 255~ | 401~ | 32~ |
Uncoated | Electrogalvanized | Galvanized | Galvannealed |
---|---|---|---|
![]() |
- | - | - |
열연 440R은 인장강도 440MPa 이상 보증강으로, 항복강도는 305MPa 이상입니다. 열연 R-Class(Rephosphorized) Steel 중에 가장 높은 인장강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적용부품고강도와 내피로성이 요구하는 자동차 부재(Member)와 서스펜션(Suspension) 등 자동차 샤시용 부품에 주로 사용
기계적 성질Guaranteed Value |
Class | 0.2%YS, MPa Spec. |
TS, MPa Spec. |
El., % Spec. |
---|---|---|---|---|
TS | PO | 305~ | 440~ | 30~ |
Uncoated | Electrogalvanized | Galvanized | Galvannealed |
---|---|---|---|
![]() |
- | ![]() |
![]() |
나노 크기의 석출물과 지름 1~3㎛의 미세립으로 구성된 고강도 열간압연 제품입니다. 나노 크기의 석출물에 의한 석출 강화 효과로 높은 인장강도를 가지며, 재결정제어압연으로 만들어진 미세한 페라이트 결정립으로 우수한 내충격성 및 안정된 피로 특성을 지닙니다. 내부 품질 향상을 위해 강 내부 불순물 및 유화물 형성을 제어합니다.
ATOS540은 항복강도 344MPa 이상, 인장강도 540MPa 이상 보증강입니다. 내충격특성 및 내피로특성이 우수하여 자동차의 각종 구조부재와 상용차의 프레임, 중장비의 Boom arm 등에 적합합니다.
적용부품고강도 및 내피로성이 요구되는 상용차 프레임용 또는 크레인 붐 등 특장차 부품용으로 주로 사용
기계적 성질Guaranteed Value |
Class | 0.2%YS, MPa Spec. |
TS, MPa Spec. |
El., % Spec. |
---|---|---|---|---|
TS | HR | 344 | 540~ | 20~ |
Uncoated | Electrogalvanized | Galvanized | Galvannealed |
---|---|---|---|
![]() |
- | - | - |
ATOS590은 항복강도 419MPa 이상, 인장강도 590MPa 이상 보증강입니다. ATOS540 합금원소를 첨가하여 석출 강화에 의한 고강도를 확보한 강종입니다.
적용부품내충격성 및 피로특성이 요구되는 자동차의 각종 구조 부재와 상용차의 프레임, 중장비의 붐암(Boom arm) 등의 부품에 주로 사용
기계적 성질Guaranteed Value |
Class | 0.2%YS, MPa Spec. |
TS, MPa Spec. |
El., % Spec. |
---|---|---|---|---|
TS | HR | 419~ | 616~ | 19~ |
Uncoated | Electrogalvanized | Galvanized | Galvannealed |
---|---|---|---|
![]() |
- | - | - |
ATOS780은 항복강도 675MPa 이상, 인장강도 780MPa 이상 보증강입니다. 자동차의 각종 구조 부재와 상용차의 프레임, 중장비의 붐암(Boom arm) 등에 적합합니다.
적용부품내충격성 및 피로특성이 요구되는 자동차의 각종 구조 부재와 상용차의 프레임, 중장비의 붐암(Boom arm) 등의 부품에 주로 사용
기계적 성질Guaranteed Value |
Class | 0.2%YS, MPa Spec. |
TS, MPa Spec. |
El., % Spec. |
---|---|---|---|---|
TS | HR | 675~ | 785~ | 14~ |
Uncoated | Electrogalvanized | Galvanized | Galvannealed |
---|---|---|---|
![]() |
- | - | - |
ATOS980은 항복강도 880MPa 이상, 인장강도 980MPa 이상 보증강으로, 열연 ATOS강 중 가장 강도가 높습니다. 초고강도가 요구되는 자동차의 각종 구조부재와 상용차의 프레임, 중장비의 붐암(Boom arm) 등에 적합합니다.
적용부품초고강도가 요구되는 자동차의 각종 구조 부재와 상용차의 프레임, 중장비의 붐암(Boom arm) 등의 부품에 주로 사용
기계적 성질Guaranteed Value |
Class | 0.2%YS, MPa Spec. |
TS, MPa Spec. |
El., % Spec. |
---|---|---|---|---|
TS | HR | 880~ | 980~ | 8~ |
Uncoated | Electrogalvanized | Galvanized | Galvannealed |
---|---|---|---|
![]() |
- | - | - |
초고강도강(Advanced High Strength Steel)은 금속학적으로 저온변태조직을 이용한 변태강화강으로, DP(Dual Phase) steel, TRIP(TRansformation Induced Plasticity) steel, XF(eXtra Formable) steel, TWIP(TWinning Induced Plasticity) steel, CP(Complex Phase) steel, Mart(Martensitic) Steel, FB(Ferrite and Bainite) steel, HB(Hyper Burring) steel 등이 있습니다. 이 중 인장강도 기준으로 1GPa 이상의 강을 기가스틸이라고 합니다.
주요 제품
차체 경량화를 목적으로 초고강도 강판을 요구하는 고객을 위해 개발한 강종 페라이트 기지와 제2상인 마르텐사이트로 구성됩니다. DP강은 0.5~0.6 수준의 낮은 항복비를 가져 쉽게 가공될 수 있고, TRIP강 다음으로 높은 연신율을 나타냅니다. 또한 소둔로에서 가열 후 급냉하고 Ms 온도 이하에서 과시효대를 거치기 때문에(철강의 경화를 방지하기 때문에) 우수한 소부경화능을 가집니다.
590DP은 인장강도 590MPa 이상 보증강으로 고강도 특성이 요구되는 자동차 구조재에 주로 사용됩니다. 최근 자동차 경량화 추세에 따라 490DP보다 더 높은 항복강도를 가지는 590DP를 자동차 외부 부품에 적용하는 것을 추진 중입니다. 외부 부품용은 표면 품질이 엄격하게 관리되고 있습니다. 제품으로는 CR, EG, GI, GA가 있습니다.
적용부품고강도 특성이 요구되는 Sill Side member, Reinforcement Roof Side outer 등 자동차 구조, 그리고 내충격성이 요구되는 자동차 Sill Side Panel, Underbody Reinforcement part 등 충돌부재용으로 주로 사용되며, 내텐트성을 요구하는 도어(Door) 등 자동차 외부 부품에 주로 사용
기계적 성질Guaranteed Value |
Class | 0.2%YS, MPa Spec. |
TS, MPa Spec. |
El., % Spec. |
---|---|---|---|---|
TS | CR/EG | ~450 | 590~ | 24~ |
GI/GA | ~450 | 590~ | 24~ |
Uncoated | Electrogalvanized | Galvanized | Galvannealed |
---|---|---|---|
![]() |
![]() |
![]() |
![]() |
780DP은 인장강도 780MPa 이상 보증강으로, 고강도 특성이 요구되는 자동차 구조재에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제품으로는 CR, GI, GA가 있습니다.
적용부품고강도 특성이 요구되는 실 사이드 멤버(Sill Side member), Reinforcement Roof Side outer 등 자동차 구조, 그리고 내충격성이 요구되는 Sill Side Panel, Underbody Reinforcement part 등 충돌부재용 주로 사용
기계적 성질Guaranteed Value |
Class | 0.2%YS, MPa Spec. |
TS, MPa Spec. |
El., % Spec. |
---|---|---|---|---|
TS | CR/EG | ~625 | 780~ | 14~ |
GI/GA | 400~625 | 780~ | 16~ |
Uncoated | Electrogalvanized | Galvanized | Galvannealed |
---|---|---|---|
![]() |
- | ![]() |
![]() |
구멍 확장성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고강도 강판으로 페라이트와 베이나이트로 구성된 2상 조직강입니다. 페라이트와 베이나이트는 각각 연신율과 신장 플랜지성이 우수한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들이 결합된 FB강은 뛰어난 구멍 확장성을 나타냅니다. 좋은 품질의 FB강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열연강판을 페라이트 영역에서 적절히 유지해 고순도 페라이트를 조성하고, 미변태된 오스테나이트에 용질원자를 농축시킨 다음 오스테나이트가 베이나이트로 변태할 수 있게 권취온도 이하로 급냉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열연 440FB는 인장강도 440MPa 이상, 구멍확장성(HER) 50 이상을 요구하는 샤시 부품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열연 440FB은 페라이트와 베이나이트로 구성된 2상 조직강으로 페라이트와 베이나이트 간의 경도차가 작아서 구멍확장성이 우수합니다.
적용부품높은 구멍확장성을 요구하는 암(Arm), 휠 디스크(Wheel disc) 등 자동차 샤시 부품에 주로 사용
기계적 성질Guaranteed Value |
Class | 0.2%YS, MPa Spec. |
TS, MPa Spec. |
El., % Spec. |
---|---|---|---|---|
TS | PO | 305~445 | 440~ | 32~ |
열연 540FB는 인장강도 540MPa 이상, 항복강도 355MPa 이상, 구멍확장성 50 이상을 요구하는 샤시 부품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540FB는 440FB 대비 페라이트와 베이나이트의 분율과 크기를 제어하여 고강도 열연재로 개발한 강종입니다.
적용부품높은 구멍확장성을 요구하는 암(Arm), 휠 디스크(Wheel disc) 등 자동차 샤시 부품에 주로 사용
기계적 성질Guaranteed Value |
Class | 0.2%YS, MPa Spec. |
TS, MPa Spec. |
El., % Spec. |
---|---|---|---|---|
TS | PO | 410~550 | 540~ | 24~ |
열연 590FB는 인장강도 590MPa 이상, 항복강도 420MPa 이상, 구멍확장성 50 이상을 요구하는 샤시 부품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인장강도 590MPa를 가지는 열연재 중에 가장 구멍확장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고강도이면서 높은 구멍확장성이 요구되는 자동차 부품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적용부품높은 구멍확장성이 요구되는 서스펜션(Suspension), 암(Arm), 휠 디스크(Wheel disc) 등 자동차 샤시 부품에 주로 사용
기계적 성질Guaranteed Value |
Class | 0.2%YS, MPa Spec. |
TS, MPa Spec. |
El., % Spec. |
---|---|---|---|---|
TS | PO | 420~ | 590~ | 22~ |
열연 780FB는 인장강도 780MPa 이상, 항복강도 540MPa 이상, 구멍확장성 50 이상이 요구되는 샤시 부품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열연 FB강 중에 인장강도가 가장 높아서, 경량화를 목적으로 한 고강도 열연강판이 필요한 자동차 부품에 쓰이고 있습니다.
적용부품고강도이면서 높은 구멍확장성이 요구도되는 서스펜션(Suspension), 암(Arm), 휠 디스크(Wheel disc) 등 자동차 샤시 부품에 주로 사용
기계적 성질Guaranteed Value |
Class | 0.2%YS, MPa Spec. |
TS, MPa Spec. |
El., % Spec. |
---|---|---|---|---|
TS | PO | 600~800 | 780~ | 13~ |
열연 780HB(Hyper Burring)강은 나노크기 석출물을 갖는 페라이트 단상강을 특징으로 합니다. HB강은 매우 우수한 강도와 구멍 확장성을 나타내는데, 이는 거칠고 큰 탄화물이 없고 미세한 석출물을 갖는 페라이트 단상을 갖기 때문입니다. 특히 HB강은 Si을 합금원소로 사용하지 않으므로 적스케일 발생이 없고 매우 우수한 표면 품질을 나타내며, 낮은 탄소 당량으로 성분이 설계되어 용접성도 우수합니다.
적용부품780FB보다 높은 구멍확장성이 요구되는 서스펜션(Suspension), 암(Arm), 휠 디스크(Wheel disc) 등 자동차 샤시 부품에 주로 사용
기계적 성질Guaranteed Value |
Class | 0.2%YS, MPa Spec. |
TS, MPa Spec. |
El., % Spec. |
HER(%) Spec. |
---|---|---|---|---|---|
TS | PO | 675~825 | 780~ | 15~ | 65~55~ |
고탄소-고망간을 주성분으로 하는 오스테나이트 단상강으로 가공을 받으면 변형 쌍정(deformation twin)이 발생하여 가공경화율, 강도, 연신율이 모두 우수해집니다. 미세조직 사진에서 인장시험 도중 형성된 변형 쌍정을 확인 할 수 있으며, 변형량이 증가할수록 쌍정이 증가합니다.
열연 880TWIP강은 인장강도 880MPa 이상 보증강입니다. 일반 열연재보다 강도와 연신율이 높기 때문에 고성형성이 요구되는 자동차용 휠/샤시 부품용에 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적용부품로워 암(Lower Arm) 등 스템핑 단계를 줄일 수 있는 자동차용 샤시 부품 및 스타일드 휠(Styled Wheel) 등 형상이 복잡한 부품에 사용 가능
기계적 성질Guaranteed Value |
Class | 0.2%YS, MPa Spec. |
TS, MPa Spec. |
El., % Spec. |
---|---|---|---|---|
TS | GI | 480 | 880~ | 45~ |
Uncoated | Electrogalvanized | Galvanized | Galvannealed |
---|---|---|---|
![]() |
- | - | - |
마르텐사이트 기지에 소량의 베이나이트 혹은 페라이트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마르텐사이트강은 탄소강 중에 인장강도가 가장 높지만, 연성은 매우 낮습니다. 마르텐사이트강은 급냉 후 적절한 템퍼링 열처리를 통하여 항복강도를 향상시킵니다.
열연 1180MART는 인장강도 1,180MPa 이상 보증강으로, 항복강도는 900MPa 이상입니다. 제품으로는 HR, PO가 있습니다.
적용부품범퍼 빔(Bumper Beam), 도어 임팩트 빔(Door Impact Beam) 등 롤 포밍(Roll forming)용 부품 또는 트럭 프레임 등 높은 하중을 받는 상용차의 구조부재에 주로 사용
기계적 성질Guaranteed Value |
Class | 0.2%YS, MPa Spec. |
TS, MPa Spec. |
El., % Spec. |
---|---|---|---|---|
TS | PO | 900~1150 | 1180~ | 8~ |
Uncoated | Electrogalvanized | Galvanized | Galvannealed |
---|---|---|---|
![]() |
- | - | - |
열연 1470MART는 인장강도 1,470MPa 이상 보증강으로, 1300MART 보다 합금원소를 추가로 첨가하여 인장강도와 항복강도를 향상시켰습니다. 제품으로는 HR, PO가 있습니다.
적용부품범퍼 빔(Bumper Beam), 도어 임팩트 빔(Door Impact Beam) 등 롤 포밍(Roll forming)용 부품 또는 트럭 프레임 등 높은 하중을 받는 상용차의 구조부재에 주로 사용
기계적 성질Guaranteed Value |
Class | 0.2%YS, MPa Spec. |
TS, MPa Spec. |
El., % Spec. |
---|---|---|---|---|
TS | PO | 1175~ | 1400~ | 5~ |
Uncoated | Electrogalvanized | Galvanized | Galvannealed |
---|---|---|---|
![]() |
- | - | - |
후열처리강(Post Heat Treatment Steel)은 제품 가공 전 또는 후, 소재에 적절한 가열/냉각 조건을 부여하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강으로 HPF(Hot Press Forming) steel, Autobeam, Stab(Stabilizer) 등이 있습니다.
* Autobeam 및 Stab는 상품명.
주요 제품
PHT
금형 내에서 부품 성형 후 담금질을 하는 HPF(Hot Press Forming)과 다르게, PHT강은 강관 제품을 먼저 만든 다음?열간성형 후 급냉하기 때문에 매우 높은 강도를 지닙니다. 또한 B 등 소입성원소를 첨가하여 조관성 및 용접성을 확보합니다.
열연 오토빔(Autobeam)은 부품으로 성형한 다음 후열처리하여 인장강도 약 1,300MPa를 얻는 강종입니다. 오토빔(Autobeam)은 포스코 상품명으로 자동차 부품에 주로 사용됩니다.
적용부품내충격성 및 충돌 안전성을 요구하는 도어 임팩트 빔(Door impact beam) 등 자동차 부품에 주로 사용
기계적 성질Guaranteed Value |
Class | 0.2%YS, MPa Spec. |
TS, MPa Spec. |
El., % Spec. |
---|---|---|---|---|
Composition | HR | ~980 | 490~784 | 5~ |
열연 Stab강은 자동차 샤시 부품 중 충격 안전성 및 피로성을 요구하는 부품에 적용되는 강재로, 부품 제조 후 강도 확보를 위한 후열처리((Quenching & Tempering))를 적용합니다. 성형한 다음 후열 처리로 인장강도 약 1,200MPa를 얻는 강종입니다. Stab는 포스코 상품명으로 자동차 부품으로 주로 사용됩니다.
적용부품내충격성 및 피로성이 요구되는 스태빌라이저(Stabilizer) 등 자동차 샤시 부품에 주로 사용
기계적 성질Guaranteed Value |
Class | 0.2%YS, MPa Spec. |
TS, MPa Spec. |
El., % Spec. |
---|---|---|---|---|
Composition | HR | ~1470 | ~1470 | 10~ |
열연 1470PHT는 Autobeam과 Stab강보다 더 높은 강도를 요구하는 고객들을 위하여 개발된 강종으로 열처리 이후 인장강도가 약 1,500MPa 입니다.
적용부품내충격성 및 내피로 특성을 요구하는 커플드 토션 빔 액슬(CTBA:coupled torsion beam axle), 스태빌라이저(Stabilizer), 도어 임팩트 빔(Door impact beam) 등 자동차 샤시용 부품에 주로 사용
기계적 성질Before heat treatment
Guaranteed Value |
Class | 0.2%YS, MPa Spec. |
TS, MPa Spec. |
El., % Spec. |
---|---|---|---|---|
Composition | HR | 350~550 | 500~750 | 16~ |
After heat treatment
Guaranteed Value |
Class | 0.2%YS, MPa Spec. |
TS, MPa Spec. |
El., % Spec. |
---|---|---|---|---|
Composition | HR | 350~1250 | 1,000~1,700 | 6~ |
Uncoated | Electrogalvanized | Galvanized | Galvannealed |
---|---|---|---|
![]() |
- | - | - |
열연 1800PHT는 1470PHT보다 더 높은 강도를 추구하는 고객을 위하여 개발된 강종입니다. 열처리 이후 인장강도가 약 1,800MPa로, 열연재 중 강도가 가장 높습니다.
적용부품내충격성 및 내피로 특성을 요구하는 커플드 토션 빔 액슬(CTBA:coupled torsion beam axle), 스태빌라이저(Stabilizer), 도어 임팩트 빔(Door impact beam) 등 자동차 샤시용 부품에 주로 사용
기계적 성질Before heat treatment
Guaranteed Value |
Class | 0.2%YS, MPa Spec. |
TS, MPa Spec. |
El., % Spec. |
---|---|---|---|---|
Composition | HR | 350~600 | 600~800 | 16~ |
After heat treatment
Guaranteed Value |
Class | 0.2%YS, MPa Spec. |
TS, MPa Spec. |
El., % Spec. |
---|---|---|---|---|
Composition | HR | 1,300~1,500 | 1,700~1,900 | 8~ |
Uncoated | Electrogalvanized | Galvanized | Galvannealed |
---|---|---|---|
![]() |
- | - | - |
C 0.3%이상이거나, C 0.15%이상이면서 합금원소를 첨가한 강재를 뜻합니다. 고객사 최종 열처리를 통한 고강도 및 고경도 물성치 확보가 가능하며, 자동차 부품용, 산업기계용 등에 사용됩니다.
주요 규격
?일반 구조용, 용접 구조용 및 건축 구조용이 생산되며 철구조물, 교량, 선박, 차량 제작 등 다양한 용도에 사용됩니다.
주요 규격
?특수원소(P, Cu, Cr 등) 첨가로 사용 환경에 맞는 부식 저항성을 확보한 강재입니다. 대기환경에서 도장을 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내후성강, 화석 연료 사용시 발생하는 황산 부식 환경에 내식성을 보유한 내황산강, 염분이 함유된 해수 환경에 저항성이 뛰어난 내해수강이 있습니다.
주요 규격
?구조용 강관, 배관용 강관, 인발용 강관으로 나눌수 있으며, 용접성과 성형 가공성이 우수합니다. 건축구조물, 강관파일, Gas 배관, 자동차구조용 등에 사용됩니다.
주요 규격
?극한지역, 심층 해저유전 등에 대한 원유, Gas의 시추관용으로 사용되는 강재로서, 고강도, 내마모성, 내부식성이 우수합니다.
주요 규격
?원유 또는 석유제품을 목적지까지 수송하는데 필요한 배관설비인 Line pipe용 강재로 사용되며, 고장력, 극저온인성, 내수소유기균열성, 용접성 등이 우수합니다. 운송 지역의 환경에 따라 저온환경에서 잘견디는 인성재와 부식에 강한 내sour재로 구분됩니다.
주요 규격
?LPG, 아세틸렌, 각종 가스의 고압가스를 충전시키는 내용적 500ℓ 이하의 고압가스용기에 사용되는 강재로서, 가공성과 내압강도가 우수합니다.
주요 규격
?[글로벌 이슈 리포트] 미래의 교통수단 하이퍼루프가 철강업에 미칠 영향은?
2025-04-23
특별기획
포스코, 열연코일 생산 세계최초·최단기간 내 4억톤 달성
2018-07-04
제품
강진에도 끄떡없는 천연가스 수송용 강관 소재 개발한다.
2018-05-08
솔루션
포스코 강관비계 UL700
2016-07-17
동영상
[3분 순삭 유튜브] 강철로 쓰는 세계사 : 문명의 판도를 바꾼 단 하나의 금속, 철!
2025-06-25
특별기획
[전문가의 시선] LNG인프라 시장의 게임체인저, 포스코 고망간강
2025-03-19
제품
[특집기획] 포스코그룹의 <미래를 여는 소재, 초일류를 향한 혁신>을 위한 초격차 경쟁력 시리즈 ①초격차 기술의 포스코 고망간강
2025-03-04
제품
[기술잇수다] 9편. 물을 활용한 신개념 탈질 시스템! 스카핑 머신 대상 워터 커튼 탈질 기술
2024-12-24
기술
포세이돈500
나레이션/자막
강관비계용 UL700
나레이션/자막